기타/공부노트

[우분투] root 비밀번호 설정하기

코드아키택트 2021. 1. 25. 12:24
반응형

나는 Centos로 리눅스를 배웠다. 하지만 요 근래 Centos에 대한 소식을 들으니 더이상 쓰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Centos와 관련된 논쟁의 요지는 이제 더이상 공짜가 아니고 일종의 스트리밍 서비스로 돈을 받겠다는 얘기였다. 몇몇 사람들은 이미 갈아타기 시작한 것 같고, 갈아타라는 소리도 많았다. 나는 아직 초짜이기 때문에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빨리 갈아타기로 마음 먹었다.

 

 아직 초반이라 뭐가뭔지 잘 모르겠지만, root에 대한 비밀번호를 요구할때가 있는데 입력이 안돼서 찾아보니 기본 비밀번호를 직접 해야한다고 해서 해보기로 했다. root유저 패스워드 관련 다른 사항을 참고하시고 싶은분들을 위해 참고자료에 링크를 남겨두었다.

 

 

 

문제상황 : 계속되는 패스워드 요구

비밀번호 실패로 계속 요구하는 상황

 하려고 했던 것은 git credential을 저장한 곳이 어디있는지 찾아보려고 했다. 원래는 ~/(Home)위치에 있다고 하는데 보이지 않아서 root로 가보려 했지만 되지 않았다.

 

 

 

해결: 초기 비밀번호 설정

패스워드 설정하는 부분. 리눅스에서 패스워드를 칠땐 ******이 표시되지 않더라.

(base) heejinchae@RiceMachine:/$ sudo -i
root@RiceMachine:~# passwd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root@RiceMachine:~# ^C
root@RiceMachine:~# exit
logout

  

코드 흐름은 위와 같았다. sudo -i 를 치면 바로 root아이디로 변경된다. 위의 #표시가 그 뜻이라고 한다. 이후 비밀번호를 두번 치게되면 비밀번호를 설정 할 수 있다. 로그아웃은 이외의 다른 방법도 있을지 모르나, 나는 exit을 쳤다. 

 

 

 

마무리

 본 목적은 root폴더에 접근하는 것이었는데 사실 sudo -i를 쳤을때 이미 root폴더를 접근했던 것이었다. 교육받을때 한번 배우고 몇달 안쓰니 영 잘 기억이 안난다. 우분투로 조금 코딩을 해보니 뭔가 장점도 있고, 리눅스 시스템 자체의 장점도 꽤나 보여서 그냥 공부할때나 직접 코딩할때나 활용할 일이 많을 것 같다.

 

 

 

참고자료


www.cyberciti.biz/faq/change-root-password-ubuntu-linux/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