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Paper Fold | 3D Print19 [그래스호퍼] Hoberman 그 호버만... 그래 그거이제 솔리드 모델까지 왔습니다각 부재를 연결해주는 조인트까지 만들면 되겠습니다.근데 조인트는 어떻게 디자인하지 2025. 2. 5. Hoberman 계속 모델링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1회성 모델을 만드는 것은 어찌보면 쉬운 일입니다. 그리고 1회성인만큼 딱 한번 쓸만큼 모델링을 해도 상관 없습니다그러나 저의 마음 속 어딘가에는 모델링을 합리적으로 해야한다는 그런 것이 있습니다.예전에 일하던 버릇이 남아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같은 결과를 만들더라도 좀더 연산이 빠른 방법들을 조합하곤 합니다이번 결과물도 그런 고민의 결과입니다.https://youtube.com/shorts/Gn1MhKDagkI?si=2r0Sw-4eRI5QK5Bb뭔가 잘 돌아가는 것을 보니 뿌듯합니다.이제 솔리드 모델링으로 바꾸고, 조인트 부분을 추가하면 3D 프린팅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2025. 2. 3. Hobermann mechanism 파트2 https://www.youtube.com/watch?v=RZ7KkQ8sEocHobermann mechanism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그러니까 이게 동심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위같이 생긴 모양의 두 끝이 동심원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는게 핵심인것 같습니다아무튼 말은 어려운데 그런 매커니즘을 구현하려면 코드를 다시 구성해야 했습니다.아직은 선 정도의 상태로 남아있어서 좀더 다듬어서 솔리드 모델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 2. 2. Hoberman mechanism 파트 1 https://youtu.be/znwZE56FaZs호버만 머캐니즘이 그러니까...대략 접었다 펼쳐지는 그런 형태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뭔가 해보려고해도 기초가 없으니 일단 있는거를 모방하는데 부터 시작해봅니다 2025. 1. 30. 회전형 접기용 모델 오늘도 또하나 진행했습니다.뜬금없이 라운딩을 넣기 시작했습니다.별 하다보면 손이 찝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게 조치했습니다.Rhino에서 3mf 파일로 바로 내보내면 따로 gcode를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다만 안에 채우기 등등 아주 빡빡하게 넣기 때문에 시간이 어마어마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습니다.이런 내용들 안에서 밸런스를 잘 맞춰나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5. 1. 27. 회전형 3D 프린팅 작성 안녕하세요 코드아키텍트입니다.3D 프린팅으로 접기가 가능한 것 까지 확인해보았습니다.여전히 시행착오가 많이 필요합니다.힌지에 해당하는 부분에 따로 디테일을 추가하기 보다는 두께를 얇게 하는 것 만으로도 효과는 있어 보입니다.그럼 계속 해보는 것으로 2025. 1. 2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