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공부노트

[우분투 / AVD] 내장 또는 외장 웹캠 연결하기

by 코드아키택트 2021. 12. 3.
반응형

9안녕하세요 갈아만든쌀입니다. 오늘은 안드로이드 가상 디바이스 (Android Virtual Device)에서 노트북 내장 웹캠 또는 USB 웹캠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장 웹캠 사용하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 -> AVD 매니저 실행 -> 설정 

내장 캠 설정하기

 내장 웹캠을 사용한느 방법은 쉽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해 AVD 매니저를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어 액션에 안드로이드 AVD매니저가 있습니다.

 

설정 전 후

내장 캠 확인하기

연결한 후에는 에뮬레이터를 돌려보면 됩니다.

내장 웹캠에 연결된 모습

 


외장 웹캠 연결하기

USB 연결확인 -> 웹캠 이름 확인 후 연결 

이제 외장 웹캠을 연결해보겠습니다. 하단에 첨부한 링크의 방법을 기반으로 하겠지만, 사실 저는 실패해서 제가 한 방법 그대로 해보겠습니다.

 

환경변수 설정하기

 아마 설치하셨을때 이미 했을거라고 생각하지만, 몇몇 환경변수들을 미리 설정해 두어야 합니다. 사실 전 덩어리로 다 해놔서 그냥 복붙 하겠습니다.

위의 내용들이 $HOME/.profile 에 등록되어 있어야합니다. 물론 결론적으로, 뭔가 잘 안되기 때문에 emulator 폴더에 들어가서 실행하긴 할겁니다.

 

현재 이용가능한 AVD 및 카메라

우선 어떤 AVD를 쓸 수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이후 이 장비에 속한 캠이 어느것이 있는지 확인한 후 연결하게 됩니다.

 

커맨드는 아래의 두가지를 사용합니다. 사용하기전에 Android/Sdk/emulator위치로 이동하는것을 꼭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emulator -list-avds
./emulator @Pixel_5_API_30 -webcam-list

카메라가 하나만 잡힌모습

현재 가용한 avd와 avd에 달린 카메라를 볼 수 있습니다. 제가 USB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여서 카메라가 하나만 잡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USB연결 후 카메라가 두개로 잡히는 모습

 이제 웹캠을 연결하면 위와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카메라를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1: emulator 커맨드 이용하기

각자 장비와 카메라 이름에 따라 아래 커맨드는 바꿔야할 것입니다.

예를들어 제경우 외부 웹캠의 이름은 webcam1이고, AVD장비 이름은 Pixel_5_API_30입니다. 따라서 커맨드는

./emulator @Pixel_5_API_30 -camera-back webcam1

웹캠으로 연결된 모습

 위의 커맨드를 치니 바로 됬네요. 하지만 안되는 경우도 있어서 다른곳에서 설정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위의 방법은 임시로 webcam1을 사용하는 방법이라 나중에 다시 켜면 webcam0으로 돌아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방법2: AVD config.ini파일 변경하기

AVD를 만들면, 하나의 설정파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우분투의 경우 

~/.android/avd/장비이름.avd 폴더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config.ini를 볼 수있습니다.

저는 visual studio code로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5번줄 back 카메라

위와 같이 back카메라 부분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켤때마다 다시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습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3951011/how-to-access-webcam-connected-using-usb-in-android-avd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run/emulator-commandlin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