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211

[ HyperLedger / Edx ] DIDs from a Business Perspective (Cont.) 보안 커뮤니케이션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DIDDoc에는 해당 DID를 제어하는 엔터티에 대한 공개 키와 서비스 끝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안, 종단 간 암호화된 메시징 메커니즘이라는 강력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ID와 해당 DIDDoc이 주어지면, 기업은 (DIDDoc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DID 컨트롤러에 대한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지정된 서비스 끝점으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 시, DID의 컨트롤러는 (해당 개인 키를 사용하여) 암호를 해독하고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서비스로부터 알림을 받기 위해 이메일 주소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포함하여, 이후 장에서는 이 기능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는 DID 통신에 내재된 메시징 기능.. 2021. 4. 25.
[edx / hyperledger] DIDs from a Business Perspective 자, 우리는 기술적으로 DID가 무엇인지 보았습니다. 하지만 왜 우리가 신경을 쓸까요? SSI 및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 관점에서 중요한 DID의 몇 가지 특성이 있다. 사용자 제어 DID는 SSI의 핵심 테넌트인 제어 하에 생성, 제어 및 공유하는 식별자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식별자는 다른 사용자가 만들거나 제어합니다. - 당신의 정부 신분증 - 당신의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 특정 웹사이트에 있는 당신의 계정 만약 중앙 당국이 당신에게서 그 신분증을 빼앗기로 결정한다면, 그들은 그것을 사용하는 당신의 능력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DID를 만들고 해당 개인 키를 유지하므로, 사용자만 DID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DID(및 DIDDoc)는 결코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DID를.. 2021. 4. 25.
[WSJ] NFT 요약 www.wsj.com/articles/want-to-buy-an-nft-heres-what-to-know-11615647601 Want to Buy an NFT? Here’s What to Know Art lovers, basketball fans and collectors alike are pouring money into “nonfungible tokens,” known as NFTs. www.wsj.com ※파파고의 도움을 받아 번역함. 다소 문제의 소지가 있어 원문은 적지 않음. 요약본 NFT? - 암호 화폐 뒤의 기술 이용(블락체인인듯)한 각각 복제 불가능한 고유 토큰을 만드는 디지털 자산 - 토큰은 디지털 증서의 역할(온라인 예술, 음악, 밈의 원본) - NFT - Nonfungible tok.. 2021. 4. 23.
[Hyperledger / Edx] 분산형 식별자란? -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이 SSI의 중요한 구성요소 - 분산형 식별자(DID)는 검증 가능한 자격의 핵심요소 - DID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표준이 되는 과정에 있는 새로운 유형의 식별자 -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 모델 작동을 위해 분산형 생태계 필요 - 이러한 생태계는 DID 및 agens와 함께 제공(다른장에서 자세히 설명) - DID는 중앙 권한과 무관 - 소유자에 의해 생성되는 특수한 종류의 식별자 - DID 규격에 따라, DID는 다음과 같이 보이며 HTTP 주소와 유사하지만 다르게 사용 DID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새로운 유형의 통일된 리소스 위치(URL) - 아무나 언제든지 만들 수 있습니다. - 전 세계적으로 고유합니다. - 가용성이 높습니다. - 암.. 2021. 4. 18.
[Hyperledger / Edx] SSI의 10대 원칙 W3C Credentials Community Group의 공동의장 크리스토퍼 앨런에 따름녀 SSI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10대 원칙은 다음과 같음 - 사용자는 독립적 존재여야 합니다. -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을 통제해야 한다. -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시스템과 알고리즘은 투명해야 합니다. - 신원은 오래 지속되어야 한다. -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는 전송 가능해야 합니다. - 신원은 가능한 한 널리 사용되어야 한다. - 사용자는 자신의 ID 사용에 동의해야 합니다. - 청구권의 공개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 사용자의 권한을 보호해야 합니다. - 이 원칙들은 본질적으로 기술적이며, Indy, Aries, Ursa를 통해 실현됨 - 몇몇은 기술 프로젝트 관.. 2021. 4. 17.
[Hyperledger / Edx] What Is Self-Sovereign Identity? (자아 주권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SSI(Self-sovereign identity,자기 주체적인?)는 하이퍼레져 아이덴티티 프로젝트인 Indy, Aries, Ursa와 연관되어 들어본 단어일 것 SSI란? -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 제어 - 데이터가 언제 어떻게 다른사람에게 제공되는지 제어 -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행함 - SSI를 사용하면 요청에 따라 당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권한(중앙화 관련된 모든것들)이 없음 - 기저에 깔린 블락체인 기술과 암호화로, SSI로 아이덴티티에 대한 클레임을 제시할 수 있음 - 다른이들도 암호적으로 확실하게 클레임 제시를 검증할 수 있음 - SSI는 우리 자신의 정보를 스스로 주장하고 남들에게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기를 강요하는 것이 아님 - 검증가능한 자격을 떠올려보면, 인증인에게 제출하는 .. 2021.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