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21 Element implicitly has an 'any' type because expression of type 'number' can't be used to index type 안녕하세요, 코드아키텍트입니다.오늘은 Vite와 TypeScript를 함께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에러와 그 해결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왜 Vite에서 TypeScript 에러를 해결해야 할까? 이유는 간단합니다. Vite 앱을 배포(build)하기 위해서입니다.제 경험상, Vite는 빌드 시에 TypeScript 에러가 있으면 중단됩니다. 자바스크립트와는 달리 TypeScript는 타입을 엄격하게 검사하기 때문에, 타입이 맞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특히 기존에 자바스크립트를 쓰던 분들에게는 생소하고 번거롭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타입 안정성은 유지보수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익숙해질수록 장점이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너무 깊게 들어가진 않고, “배포하려면 꼭 해결해야 한다”는 정도로만.. 2025. 5. 6. [Grasshopper] Hoberman 스크립트 완성 우여곡절끝에 만들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n687F_Mw2GM?si=jkCSTx1mf_Wht5L3다음단계는 구형태로 만들던지, 아니면 좀더 조밀하게 생성되도록 해봐야겠습니다 2025. 2. 14. [그래스호퍼] Hoberman 그 호버만... 그래 그거이제 솔리드 모델까지 왔습니다각 부재를 연결해주는 조인트까지 만들면 되겠습니다.근데 조인트는 어떻게 디자인하지 2025. 2. 5. Hoberman 계속 모델링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1회성 모델을 만드는 것은 어찌보면 쉬운 일입니다. 그리고 1회성인만큼 딱 한번 쓸만큼 모델링을 해도 상관 없습니다그러나 저의 마음 속 어딘가에는 모델링을 합리적으로 해야한다는 그런 것이 있습니다.예전에 일하던 버릇이 남아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같은 결과를 만들더라도 좀더 연산이 빠른 방법들을 조합하곤 합니다이번 결과물도 그런 고민의 결과입니다.https://youtube.com/shorts/Gn1MhKDagkI?si=2r0Sw-4eRI5QK5Bb뭔가 잘 돌아가는 것을 보니 뿌듯합니다.이제 솔리드 모델링으로 바꾸고, 조인트 부분을 추가하면 3D 프린팅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2025. 2. 3. Hobermann mechanism 파트2 https://www.youtube.com/watch?v=RZ7KkQ8sEocHobermann mechanism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그러니까 이게 동심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위같이 생긴 모양의 두 끝이 동심원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는게 핵심인것 같습니다아무튼 말은 어려운데 그런 매커니즘을 구현하려면 코드를 다시 구성해야 했습니다.아직은 선 정도의 상태로 남아있어서 좀더 다듬어서 솔리드 모델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 2. 2. Hoberman mechanism 파트 1 https://youtu.be/znwZE56FaZs호버만 머캐니즘이 그러니까...대략 접었다 펼쳐지는 그런 형태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뭔가 해보려고해도 기초가 없으니 일단 있는거를 모방하는데 부터 시작해봅니다 2025. 1. 3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