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갈아만든쌀 입니다. 오늘은 노션 홈페이지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직접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한 페이지 또한 첨부합니다.
https://www.notion.so/blog/personalize-public-pages
이걸 보고 할 수 있는 것
- 내 홈페이지를 [내도메인].notion.site 형식으로 바꾼다.
- 내가 공유하는 컨텐츠 들이 [내도메인].notion.site/고유링크로 바뀐다
전체과정
- 대표링크로 만들 페이지 생성
- 설정탭에서 도메인 설정
- 시크릿모드를 통한 테스트
대표링크 만들 페이지 생성
네이버의 예로 든다면 네이버홈을 만드는 과정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도메인].notion.site에 접속했을때 바로 보여질 화면입니다. 요즘 스타트업들은 노션으로 사이트를 만들곤 하던데, 스타트업의 홈페이지가 될 수도 있겠고, 또는 아주 간단하게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페이지를 추가합니다. 왼쪽의 탭 중 private부분에서 +를 누르면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형식의 포트폴리오 또는 홈페이지를 구성해봅시다. 어쨌든 테스트 용이니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이때 주의하실 것은 오른쪽 상단의 Share to web을 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누구나 볼수 있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링크가 있으면 누구나 볼 수 있음 옵션으로 해야겠죠?
설정탭에서 도메인 설정
왼쪽 위의 세팅 부분으로 갑니다.
여기에서 모든걸 설정 할 수 있습니다. Name은 자신의 이름입니다. 본인 도메인과는 크게 상관이 없고, 다른사람들과 워크스페이스를 공유했을때 나온느 이름입니다. 아이콘도 마찬가지 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도메인 입니다. 도메인을 설정하시면 원하는 도메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도메인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중복 체크도 합니다.
예시로 저는 chaeguevara로 했는데, 이제 제 퍼블릭 링크는 chaeguevara.notion.site가 됩니다.
앞에서 설정한 Share to web을 한 페이지 들만 리스트로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테스트 포트폴리오를 홈페이지로 설정하고 업데이트 합니다. 이때 밑에 작게 보시면 본인의 사이트 링크가 보이니 클릭하셔서 바로 들어가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시크릿모드를 통해 테스트할 예정이니 우선 넘어갑시다.
시크릿 모드에서 테스트
단축키는 shift+ctrl+n입니다. 이곳에 자신의 홈페이지를 쳐봅시다. 이유는 자신의 크롬으로 할시 로그인 정보가 남아있어서 제대로 검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원하는대로 모습이 나왔다면 성공입니다.
끝맺으며
오늘은 간단히 노션으로 홈페이지 도메인을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에게 홈페이지 만들기는 상당히 어려운 일인데, 노션으로 한다면 아주 간단하게 드래그앤 드랍으로 홈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여러가지 링크를 한군데에 모아 관리 할 수 있습니다. 탬플릿 만들기가 걱정이신 분들이라면 저는 남들보고 따라 만들기를 권장하고 싶습니다. 사실 탬플릿들이 기능이 그렇게 대단한게 있는게 아니라 있는 기능을 잘 섞어 놓은 것이기 때문에 연습할 겸 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Reddit에 가면 많은 자료들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럼 오늘은 뿅
'아카이브 >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주소확인(PIN)은 무엇일까? (0) | 2021.12.07 |
---|---|
[오토바이] 제주도에서 내 바이크를 타고 싶다면? (0) | 2021.12.03 |
[TIL / 팁] 알뜰폰 신청 및 개통기 (0) | 2021.10.28 |
[TIL / 티스토리 운영] 어떤 블로그주제가 다음메인에 등록될까? (0) | 2021.10.18 |
[TIL / 애드센스] 애드센스 무려 1년간의 시간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