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211 [지식 그래프] 지식그래프란 무엇인가? 지식그래프는 무엇인가? 대부분 문서들을 보면 지식그래프가 무엇인지 보다는 이것을 쓰면 왜 좋은가 라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CS520 수업에서도 지식그래프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는 잠깐 나오고 읽어볼 논문으로 몇가지 나오는데, 이중 하나가 지식그래프가 무엇인지 좀더 상세하게 다룬다. 두괄식으로 던져놓고 논문의 설명을 옮겨적어본다 지식그래프의 핵심은 추론이다 A knowledge graph acquires and integrates information into an ontology and applies a reasoner to derive new knowledge. - "Towards a definition of knowledge graphs." 내가 논문을 보며 이해한 지식그래프의 핵심은 추론 능력이다.. 2022. 7. 6. [neo4j] Minimum Spanning Tree 사용하기 오늘은 MST(Minimum Spanning Tree) 알고리즘을 neo4j에서 사용하는 법에 대해서 써본다. 굳이 쓰는 이유는 neo4j라이브러리가 업데이트되면서 알고리즘을 쓰는 방법들이 조금씩 달라졌기 때문이다. 그럼 시작해본다. MST? A minimum spanning tree (MST) or minimum weight spanning tree is a subset of the edges of a connected, edge-weighted undirected graph that connects all the vertices together, without any cycles and with the minimum possible total edge weight. 위키피디아엔 위와같이 정의되어 있다.. 2022. 7. 6. [Neo4j / 데이터 불러오기] web csv에서 데이터 불러오기 이전에 다뤘던 주제인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무튼 일단 이야기해봐야지 데이터 구조 이해하기 https://github.com/neo4j-graph-analytics/book/tree/master/data GitHub - neo4j-graph-analytics/book Contribute to neo4j-graph-analytics/book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의 링크로 들어가면 transport-nodes.csv 라는 파일과, transport-relationships.csv 라는 파일이 존재한다. 즉 node와 edge다. 여기서 유의할점은 node를 먼저 만든 후 edge(relation)을 만든다는 것이다. neo.. 2022. 7. 5. [지식 그래프] 여는 말 내 이럴줄 알았지. 이제 본격적으로 논문을 쓸때가 되었다. 원래는 블록체인으로 하고 싶었으나, 과제와의 연관성 때문에 지식그래프를 해야겠다. 특히 공간정보를 찍먹하고 있는 나로선 Geo(Geography, Geospatial)이라는 말을 떼놓을 수 없다. 누군가의 헛발질이 다음사람에겐 등대가 되기를 바라며(뭔가 이상한데) 포문을 연다 2022. 7. 4. [가회동] 암살에 나온 백인제 가옥 https://youtu.be/1ndi5Jom6Is 자세한 설명은 위의 유투브로 서울시 예약으로 해설 예약 놀기위해 사는 인간. 무엇을 어떻게 놀까 열심히 궁리하다 서울시 예약 사이트를 뒤져보기 시작했다. 흥미로운 여러예약이 있었다. 가령 DDP내부 돌아보기와 같은 것들이 있었지만, 맛보기로 백인제가옥부터 시작해보기로 했다. https://yeyak.seoul.go.kr/web/reservation/selectReservView.do?rsv_svc_id=S220517150032795954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 한번에 쉽게 간편하게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 yeyak.seoul.go.kr 링크는 걸어놓긴하는데 6월 예약이라고 써있는거 보니, 다음달꺼 링크는 달라질지도 모르겠다. 한시간에 15명씩 받지만.. 2022. 6. 5. [Brownie + React] ganache 계정 고정하기 지난 글에선 ganche-cli 커맨드 기반으로 돌아가는 기본 네트워크를 ganache기반으로 돌아가도록 바꿨다. 하지만 문제는 또 발생한다. brownie-mix 중 react-mix를 사용하려면 "brownie console" 커맨드를 사용하는게 필수로 보인다. 하지만 로컬 ganache로 테스트할때 계속 기본 계정 주소들이 바꾸어 어려움이 있었다. 오늘은 이 문제를 해결한 내용을 올린다 문제상황 brownie console 실행마다 ganache의 계정 바뀜 ❯ brownie console Brownie v1.18.1 - Python development framework for Ethereum ReactProject is the active project. Launching 'ganache --c.. 2022. 5. 8. 이전 1 ··· 3 4 5 6 7 8 9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