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211 [RNN] Teacher Forcing 방법. 무엇이고 왜 쓰는지. CS224N을 보는 중 Teacher Forcing이라는 말이 자주 나와 간략히 알아본다. 방법 : 학습시, 이전 상태의 결과(t-1, y_hat(t-1))를 현재상태(t)에 넣지 않음. 대신 이전 상태의 답지(y_(t-1), 위 그림에선 x(t))를 현재 상태의 input으로 넣어줌. Teacher Forcing 있을때와 없을때 차이 쓰는 이유 : 쓰지 않으면 모델이 불안정함. 쓴 경우 수렴 속도 빨라짐. 이미 검증됨 (CS224N 수업 내용 중) 단점 : open-loop(학습되지 않은 내용을 뜻하는 듯)의 경우 잘 작동하지 않음. 왜냐하면 학습시 사용된 input과 test시 사용되는 input이 다름 - 해결방법 : teacher force 방법과, free running input(예측된 값을 .. 2022. 9. 5. [벨킨 / 추천] 벨킨 7-in-1 멀티허브 오늘은 벨킨 멀티허브 리뷰를 해봅니다. 한달리뷰라고 써놨지만, 한달이상 사용했습니다. 그간 사용하면서 느낀점을 공유해드립니다. 목차 1. 멀티허브 구매시 고려할점 2. 맥 호환성은 괜찮은가? 3. 발열이 심한가? 4. 휴대성과 내구성 5. 충전성능은 괜찮은가? 6. 소켓은 넉넉한가? 7. 최종결론 1. 멀티허브 구매시 고려할점 한달넘게 멀티허브를 사용하며 그간 좋았던 점과 불편한점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을 고려해서 추후에 구매한다면 좋으리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상 목차와 같지만 한번더 적어봅니다. 해당 OS와 호환이 잘 되는가? 발열이 심한가? 휴대하기엔 괜찮은가? 허브를 통한 충전은 잘되는가(In / out) 소켓은 넉넉한가? 내구성은 괜찮은가? 이정도로 정리하면 될것이라고 봅니다. 그럼 하나하나 해.. 2022. 9. 2. [NLP/ CS224n] 자료 다운 받는 법 오늘은 아주 짧은 글로 시작한다. Coursera를 들었지만, 박사과정 추천에 따라 다시 CS224N을 듣고있다. 기본적인 ML / DL내용은 아주 빠르게 하고, 언어 모델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하고 있다. 사이트를 찾던 중 슬라이드를 다운 받을 수 있었다. 일일히 다운받기 귀찮아서 wget으로 다운로드 받는 코드를 여기에 옮겨적는다. 주의할 점은 눈에 보이지 않던 archive파일까지 다운받아지기 때문에 4시간 정도로도 모든 자료를 다운 받을 수 없다. 장점은 예전에 학생들이 제출한 레포트도 볼 수 있다는 정도? wget -r -p -k https://web.stanford.edu/class/cs224n/slides/ 용도에 맞게 쓰시길... 2022. 8. 24. [제작을 위한 그래스호퍼 #3 / 강의계획] 커리큘럼 안녕하세요 여러분. 갈아만든 쌀입니다. 약 9달 전에 호기롭게 강의를 시작했으나 현생에 치여 거의 올리지 못했습니다. 개인적인 이야기지만 최근 여러 가지 책을 읽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 끝에 결론은 다시 BIM필드로 돌아와 일을 하는 것으로 하였습니다. 여전히 대학원 졸업 준비로 정신없긴 하지만 향후 어떤 것들을 다룰 것인지 미리 공유드리려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우선은 최대한 무료로 강의를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글로 쓰는게 내용을 전달하기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 아니라 영상도 병행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되면 블로그는 교안 또는 요지를 얘기하고, 영상이 메인이 될것 같습니다. 강의목표 Rhino 3D 모델에서 제작용 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는 수준이 된다 NURBS 기.. 2022. 8. 5. C-Rank / D.I.A : 검색 최적화를 위해 알아야할 두가지 알고리즘 네이버 검색이 잘되려면 네이버 검색 알고리즘을 알아야 한다. 자료를 찾던 중 C-Rank알고리즘과 D.I.A 알고리즘이 궁금해 정리해본다. 비록 네이버 블로그 알고리즘이지만, 블로그를 운영하는 여러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이 되지 않을까 싶다. C-Rank와 D.I.A C-Rank와 D.I.A, 블로그 지수 결정요인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블로그 지수 결정요인 얼마나 오래 / 자주 / 상호작용(댓글 공감 등) / 주목도 지수(각 글의 품질) C-RANK 집중도(Context), 정보의품질(Context), 소비 및 생산의 연쇄반응(Creator)를 이용 블로그가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 D.I.A(Deep Intent Analysis) 데이터 기반, 키워드 별로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문서에 대한 점수.. 2022. 7. 31. [취미활동] 실내 국궁장 권오정 오랜만에 국궁 친구들과 만났다. 나는 아주 과거에 국궁을 했다. 그게... 5년전이구나. 여튼 오랜만에 국궁을 하게 되었고 그 이야기를 적어본다. 국궁과 양궁의 차이(아주 간략히) 오늘의 중심 이야기는 아니니 국궁과 양궁의 차이를 아주 간략히 적어본다. 활 : 국궁은 부착물이 없이 가볍다. 양궁은 조준기 등등 엄청나게 무겁다. 거리 : 국궁은 원래 145m 밖에 과녁을 쏜다. 양궁은 남자 기준 최대 거리가 90m다 시위 당기는 법 : 국궁은 엄지로 당긴다. 양궁은 검지와 중지를 중심으로 당긴다 뻗은손(줌손) 쓰는 법 : 이건 둘다 비슷하다. 아래 세개 손가락인 중지 약지 소지를 중심으로 쓴다. 엄지와 연결된 손바닥 부분으로 11시 방향으로 밀면서 쏜다. 이렇게 하면 시위가 단순히 앞으로 왔다가 뒤로 가는.. 2022. 7. 13. 이전 1 2 3 4 5 6 7 8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