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은 프로젝트를 해야 많이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다 문득 Threejs로 어떤 프로젝트를 해볼까라는 생각에 이르렀습니다
아무래도 베이스가 건축이다 보니 건축과 관련된 것이 떠오릅니다
그 중에서도 공간의 관계성을 표시하는 프로젝트를 생각했습니다. 전문용어로는 Space Syntax라고 합니다. 공간의 관계성을 나타내고 나아가서 설계에 반영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공간 설계에 있어 보안적으로 문제가 되는 곳은 없는지 찾는 것들이 가능합니다. 그럼 이 방법을 어떻게 구현할지 생각을 해보아야 합니다
단순히 3D모델을 쓸 수도 있지만, 3D 포멧 중 관계성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여럿있습니다. 따라서, ifc와 같은 포멧을 사용하는게 좋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해당 ifc를 관계성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편집 프로그램인 revit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Threejs에 초점을 다시 맞춘다면 ifc load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겠네요.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autodesk platform service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 좋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오픈소스를 지향한다면 ifc와 threejs를 쓰면 될것입니다. 사실상 표준인 revit의 연계성을 고려한다면 revit api나 autodesk platform service를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Threejs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으니 autodesk platform service나 threejs 의 ifc loader를 쓰는게 좀더 올바른 방향이겠군요
'테크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킨지 컨설팅 제안서, 이렇게 만든다: 7단계 구조 완전 분석 (2) | 2025.06.21 |
---|---|
웹 3D, 어디까지 해봤니?Autodesk Tandem + Three.js 실험기 (0) | 2025.06.20 |
THREEJS 다시 배우기 #1 (1) | 2025.06.06 |
다시 도전을 한다 (1) | 2025.02.02 |
Geometry를 다루는 일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