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319 카카오 애드핏(Kakao Adfit) 한방 승인 후기. 작년 나의 목표 중 하나는 블로그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를 애드핏으로 이루었으며, 그 후기를 전하고자 한다. 카카오 애드핏을 하게 된 이유 애드센스가 돈을 많이 준다는 이야기를 듣고 블로거로 애드센스를 달아보려 했지만 여간 게을렀던 나는 그런 소정의 목표조차 이루지 못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라는 존재도 있었지만, 왠지 네이버 블로그들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곳보다는 대부분 광고 성과 토깽이들 몇 마리 나와서 오늘은 무언갈 알아볼 거처럼 침만 바르고 끝나는 글들이 많은 거 같아서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러다가 카카오 애드핏을 알게 되었다. 기술 블로거들이 티스토리를 많이 하는 거 같고, HTML로 꾸밀 수 있어서 구글 블로그만큼의 관리 자유도가 있으면서, 수익 만들기는 구글 블로그.. 2021. 1. 5. [건축/진로]파사드 컨설턴트: 2편 - 나는 어떻게 파사드 컨설턴트가 되었는가. BIM 컨설턴트 시작 저는 정확히는 BIM컨설턴트로 일을 시작했습니다. 한국에서 BIM 분야로 유명하신 교수님 밑에서 학부 연구생을 하였죠. 당시 저는 학기 마지막이었기 때문에 굉장히 고심이 많았습니다. 제가 여태까지 해오던 설계를 살려 설계사무소에 가는 방법도 있었고, 건설사를 가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저의 발목을 계속 잡았던 것은 드론이 하늘을 날고, 알파고가 바둑을 두는 시대의 모습과 땅바닥에 앉아 폼보드를 자르며 모델을 만들게 될 저의 모습이 너무나 대비되는 것이었습니다. 시대는 기술을 통해 나날이 발전하고 효율적으로 되어가는데 건축은 그렇지 못해 항상 갈등하고 있었습니다. 드론이 물건을 나르고, 3d 프린터가 집을 짓는 시대에 땅바닥에서 칼을 들고 모형을 만드는 내 모습에 대한 회의 Re.. 2021. 1. 4. [건축 스케치] 관악구청 예전에 뉴스에서 유리로 된 관청 건물들을 비판하던 시절이 있었다. 대표적인 예는 용산 구청이었다. 교수님이 말하길 정부의 투명성이라는 정체성을 유리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그런 시도들이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유리로 된 건물은 에너지를 잡아먹는 애물단지가 되어버렸다. 오늘은 오고가며 보던 관악구청을 꺠작여봤다. 서쪽에서 들어오는 깊은 해를 막기위한 것처럼 보이는 이상한 유리가면이 있지만, 과연 이것이 제대로 작동할지 부터가 의문이 든다. 윗 몸둥이를 조금이나마 오프셋하여 길을 만들어 내려고한 시도는 용적률을 채우면서도 어떻게든 시민 편의를 해보려는 건축가의 노력이 보인다. 유리로 시민들과의 소통은 그리 성공적이지 않았던거 같다. 오히려 통유리는 아니지만 거리의 흐름을 건물로 가져온 도화동 청사가 그런 의.. 2021. 1. 4. [건축 스케치] 현대미술관 서울관 벌써 1년넘게 가보지 못한 국립 현대미술관 서울관. 작품의 섬으로 미술의 세계속에서 헤메이는게 컨셉이라고 했던 건물이었다. 언제 또 가보나. 2021. 1. 3.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무작정해보기] [5/30] Shortest Path Algorithm 사용해보기 지난 글에서 Dijkstra's Algorithm(다익스트라,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Neo4j에서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Unweighted 와 Weighted Shortest Path 이해하기. 최단거리 계산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노드간 몇 회만 뛰어넘는지만 계산하는 방식, 다른 하나는 노드 사이의 실제 거리 값을 계산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우선 그림으로 둘의 차이를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앞으로 실행할 알고리즘은 위와 같습니다. 유럽의 여러 도시들과 그 사이의 거리를 표시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Neo4j 그래프에선 기본으로 화살표가 생겨 마치 한방향으로 가는것 같지만, 이는 프로그램 기본사항이므로 무시하도록 합시다. Unweighted Short.. 2021. 1. 3.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무작정해보기] [4/30]Dijkstra's Algorithm(다익스트라,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최단거리 찾기(Shortest Path) 하나의 노드쌍에서 최단 거리를 찾습니다. 길찾기 알고리즘은 19세기 부터 유래를 찾을 수 있고, 1956년 Edsger Dijkstra(다익스트라, 데이크스트라)가 가장 유명한 알고리즘을 만들었으며, 대체루트 찾기로 유명해졌습니다. 이 알고리즘을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움짤을 하나씩 그려가면서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프의 구성 그래프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6개의 노드와 8개의 엣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실생활에 대응해서 생각해본다면 6개의 도시와 이 도시들을 잇는 8개의 도로망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그리고 8개의 엣지 위의 값은 거리라고 생각합시다. 최단거리 = 최소 걸리는 루트 라는 공식을 성립하게 하기 위해, 도로체증, 신호 등등의 .. 2021. 1. 2.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