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4

무신사로 살펴본 브랜드 마케팅 캠페인의 핵심요소 5가지 https://brunch.co.kr/@yi-seo/106 무신사로 살펴본 브랜드 마케팅 캠페인의 핵심요소 5가지 무신사는 어떤 방식으로 브랜드 핵심 메시지를 알릴까? | 작년 10월 유아인을 모델로 강남 버스 쉘터를 점령한 '다무신사랑해' 메시지는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다. 처음 그 광고 brunch.co.kr 위의 글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다무신사랑해=옷 살 때 다 무신사에서 옷 사' 광고에 브랜드 네임과 메시지를 담은 중의적인 메시지 무신사는 29CM와 스타일쉐어를 인수하고 명품과 골프 패션 품목을 강화하는 패션 쇼핑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올 하반기 또 다른 메시지로 무신사만의 브랜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무신사의 이번 광고는 지난해 겨울부터 선보인 ‘다 무신사.. 2022. 1. 26.
[건축 / Geometry] 반복 가끔 누군가 왜 접느냐고 물어봐서 대답 두가지 1. 종이접기 = Shell Structure임. 따라서 미학적이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형태가 생길 가능성이 큼 2. 경제적임. 종이접기는 기본 패턴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토폴로지 측면으로 보나 실제 건물이 지어질때로보나 경제적임 끝 이번건 좀더 큰 종이로 접었다면 패턴 반복이 더 풍부해서 재밌었을듯 하다 2022. 1. 25.
[블록체인 / 유동성풀] 유동성풀 이해 블록체인 공부를 하다보면 Defi얘기를 안거쳐 갈 수가 없다. 예전에 수업에서 유동성풀과 관련된 이야기를 해준 것 같지만 잘 이해도 안되고, 눈에 자꾸 걸리적 거려서 이번 기회를 통해 좀더 깊게 이해해보기로 하였다. 핵심요약 부분은 내가 나름대로 이해한 부분이고, 나머지는 개발새발 번역한 부분을 써봤다. Defi를 제대로 써보진 못해서 이해를 잘 못한 사람이 어느정도 코끼리 만지듯이 쓴 글이 아닐까 싶다. 어쨋든 정리를 통해 클레이스왑과 같은 서비스에서 유동성풀 예치와 어떤식으로 보상이 주어지는지 큰 그림은 이해할 수 있었다. 핵심요약 유동성 풀은 Defi에 있어서 핵심 요소임 유동성 풀 이란? 스마트 컨트랙안에 잠겨있는 기금임 유동성 풀을 통한 수익? 유동성 풀에 토큰을 제공한 대가로 풀안에서 일어난 .. 2022. 1. 24.
[강남 / 중국집] 화려한 조명과 서비스 : 상해루 안녕하세요 갈아만든쌀입니다. 오늘은 상해루 중국집 이런 사람들에게 추천 1. 분위기 내며 중국집 가고 싶은 사람 2. 축하할 일이 있는사람 3. 배터지는 차돌짬뽕이 먹고싶은 사람 고급진 내 외부 건물 외부도 특이해 보였으며 내부도 꽤나 넓고 운치있는 조명을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어마어마한 메뉴 사실 메뉴가 너무 많습니다... 저같이 뭐가뭔지 모르겠는분은 입간판 처럼 세워진 메뉴중 고르시면 됩니다. 먹어보자 메뉴 얘가...이름이... 멘보샤! 전에 마포 진진에서 멘보샤를 먹었는데, 그와 견줄 맛이었습니다. 기름을 튀긴 음식 특유의 눅눅하거나 기름맛이 지나치거나 없이 깔끔했습니다. 얘가 궁보기정. 이 친구도 약간은 매웠지만 미친듯이 맵지는 않았습니다. 깔끔했다. 즈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대망의 차돌짬뽕밥. 사.. 2022. 1. 21.
[알고리즘 / 링크드 리스트] Intersection of Two Linked Lists 문제 https://leetcode.com/explore/learn/card/linked-list/214/two-pointer-technique/1215/ 다음과 같은 Linked List(LL,링크드 리스트)가 주어졌을때, 서로 부딪히는(위 그림의 노란 체크) 노드 찾기 아이디어 일단 같은 길이의 위치에 놓은 후 한칸씩 건너며 체크한다 위와 같은 두 LL이 주어진다고 한다면 긴쪽의 head를 짧은 쪽의 head 에 맞게 옮긴후 이후 한칸씩 움직이면 Intersect 노드를 찾을 수 있음 제약조건 overflow등을 걱정할만한 제약조건은 없어보임 챌린지 time complexity : O(m + n) Space complexity : O(1) 뼈대코드 /** * Definition for singly-l.. 2022. 1. 20.
[Blender] Geometry node 2022. 1. 19.